티스토리 뷰
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최대 70만 원을 저축한다면 5천만 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는 계좌입니다. 올해 6월 운영을 개시하게 되었는데요 8월 11일까지 신청받고 있으니 하루빨리 신청하여 혜택 받아보시기 바랍니다.
1.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
8월 11일까지 11개 은행에서 취급하는 청년도약계좌를 각 은행 어플을 통해 가입하면 됩니다. 마감일이 되기 전에 아래 은행을 통해 신청하기 바랍니다.
▶ 청년도약계좌 취급 은행
기업은행 | 국민은행 | 농협은행 | 신한은행 |
우리은행 | 하나은행 | 대구은행 | 경남은행 |
부산은행 | 전북은행 | 광주은행 | - |
2.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(60개월)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%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나이, 개인소득, 가구소득 등을 충족해야 합니다.
▶ 나이 :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 ~ 34세 이하 (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빼고 계산)
▶ 개인소득 :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,500만원 이하이며,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원 이하인 경우 (단,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하며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)
▶ 가구소득 :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에 해당하는 자
가구원 수 | 1인 | 2인 | 3인 | 4인 | 5인 | 6인 |
2022년 | 194만 4812 | 326만 85 | 419만 4701 | 512만 1080 | 602만 4515 | 690만 7004 |
2023년 | 207만 7892 | 345만 6155 | 443만 4816 | 540만 964 | 633만 688 | 722만 7981 |
3. 청년도약계좌 혜택
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.
▶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
▶ 본인납입금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와 이에 대한 비과세 혜택
▶ 저소득층 청년 대상 일정수준의 우대금리 제공
▶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구조
개인소득 기준 | 정부기여금 지급한도 | 정부기여금 매칭비율 | 정부기여금 한도 |
총 급여 2400만원 이하 | 40만원 | 6.0% | 2.4만원 |
총 급여 3600만원 이하 | 50만원 | 4.6% | 2.3만원 |
총 급여 4800만원 이하 | 60만원 | 3.7% | 2.2만원 |
총 급여 6000만원 이하 | 70만원 | 3.0% | 2.1만원 |
총 급여 7500만원 이하 | - | - | - |
4. 청년도약계좌 만기금액
청년도약계좌의 만기금액은 개인의 상황과 월 납입한 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. 이자를 최대로 적용받았을때 받을 수 있는 만기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.
월 납부 | 원금 | 만기금액 |
30만원 | 1800만원 | 2100~2210만원 |
40만원 | 2400만원 | 2800~2950만원 |
50만원 | 3000만원 | 3500~3650만원 |
60만원 | 3600만원 | 4200~4350만원 |
70만원 | 4200만원 | 4900~5050만원 |
더 정확한 만기금액이 알고 싶다면 아래를 참고하여 청년도약계좌 계산기를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.
5. 함께보면 좋은 글
'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일러 교체 지원금 신청 최대 60만원받기 (0) | 2023.08.11 |
---|---|
청년월세지원금 신청 (매달 20만원 지원) (0) | 2023.08.09 |
2024년 최저임금 월급 실수령액 알아보기 (0) | 2023.08.07 |
부모급여 지원대상 지급금액 신청방법 총정리 (0) | 2023.08.04 |
한전 에너지 캐시백 신청 방법 지급기준 (0) | 2023.07.27 |